곤생돌쭌

돌아가자 본문

좋은글(いいぶんしょう)

돌아가자

고운남 2010. 3. 3. 14:56

 

 

돌아가자

-요시마스 고오조-

 

기쁨은 날마다 저만치 멀어져간다

네가 일생동안 맛보았던 기쁨을 다 세어보는 것이 좋을 거다

기쁨은 분명 오해와 착각 속에 싹트는 꽃이었다

까맣게 그을린 다다미 위에서

하나의 주발 가장자리를 살짝 어루만지며

낯선 신의 옆모습을 상상하기도 하며 몇 년이 지나버렸다

무수한 언어의 축적에 불과한 나의 형체와 그림자는 완성된 듯하다

사람들은 들국화처럼 나를 보아주는 일이 없다

이제 언어에 의지하는 일 따위는 그만두자

실로 황야라고 부를 만한 단순한 넓은 평야를 바라보는 것 따위

어림도 없다. 인간이라는 문명에게 아무리 불을 빌려달라 하더라도

그것은 도저히 헛된 일이다. 만일 돌아갈 수 있다면

이미 극도로 지쳐버린 영혼 속에서 굵고 둥근 막대기를 찾아내어

거친 바다를 횡단하여 밤하늘에 매달린 별들을 헤쳐 나아갈

노를 하나 깎아내어

돌아가자

사자와 송사리가 생몸을 부대끼며 서로 속삭이는

저 먼 창공으로

돌아가자


- 고오조 시선집 「어느 날 아침, 미쳐버리다」 (2004, 들녘)

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
 

 일본의 현대시인 요시마스의 시세계는 언어 자체에 대한 고민과 시의 한계에서 오는 세계에 대한 절망적 인식, 문명 비판과 사라져 가는 것들에 대한 연민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. 일본 제국주의가 파국을 향해 치닫던 1939년에 태어난 그는 비록 어린 나이였지만, 세계대전에서 자신의 조국이 패망하는 걸 목도하였다. 또한 그가 자라면서 본 것은 전쟁의 참상과 후유증으로 피폐화된 사람들의 모습이었다. 그의 현대 문명을 향한 첨예한 비판 의식은 아마 그런 유년의 경험에서 영향 받았을 것이다.

 

 그는 큰 재앙이 닥치기 전에 문명을 찢어버리자고 소리쳤다. 현대 문명이란 브레이크 없이 질주하는 기관차와 같아서 어떻게 하든 제동을 걸지 않으면 그 끝에는 지옥의 참상이 기다릴 뿐이란 절망적 인식이 엿보인다. 더구나 시를 쓴다는 것이 무슨 쓸모일까를 회의하며 ‘이제 언어에 의지하는 일 따위는 그만두자’고 한다. ‘인간이라는 문명에게 아무리 불을 빌려달라 하더라도 그것은 도저히 헛된 일’이란 것도 알기에 그의 절망은 고조되어 ‘어느 날 아침, 미쳐버리’겠다고 예언한다.

 

 이 시선집 제목에 ‘미쳐버리다’라고 번역된 걸 보면서 며칠 전 아사다 마오가 은메달을 딴 뒤 일본기자들 앞에서 "분하다"고 말했다는 한국 언론의 보도가 생각난다. 아무리 절치부심 김연아와 라이벌 관계라고 하지만 자신의 실수도 인정한 터에 아무려면 그런 뜻에서 말했을까. 마오가 한 말은 ‘悔しいです’인데, “미련이 남고 아쉽다“ 정도로 해석해도 좋을 것을 ”분하다“로 풀이하여 공연히 싸가지 없고 맹랑한 ‘계집’으로 만들 필요는 없었던 것이다. 사실과도 거리가 있는데다가 승자의 도량으로 구태여 까칠하게  반응할 일은 아니다. '저 먼 창공으로 돌아가자'

 

 

ACT4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

 

'좋은글(いいぶんしょう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해거리  (0) 2010.03.04
입학  (0) 2010.03.03
부부관계회복  (0) 2010.03.03
땅위를 걷는기적  (0) 2010.03.03
고통이 주는 선물  (0) 2010.03.03